이 작품은 알을 품어 병아리의 탄생을 보겠다는 소망을 간직하고 양계장을 나온 암탉 '잎싹'이 자기와 다르게 생긴 아기 오리를 지극한 사랑으로 키운 뒤 놓아 보내 주고 제 목숨을 족제비에게 내어주기까지의 삶과 죽음, 고통스럽지만 자신의 소망과 자유, 그리고 사랑을 실현해나가는 삶을 아름답게 그린 장면동화이다.
바람과 햇빛을 한껏 빨아들이고, 떨어진 뒤에는 썩어서 거름이 되고, 결국 향기로운 꽃을 피워내는 아카시아나무 잎사귀처럼 뭔가를 하고 싶어 스스로 제 이름을 '잎싹'이라 지은 암탉, 자신의 소망을 이루기 위해 자유로운 삶을 찾아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양계장과 안전한 마당을 나온 암탉, 목 깃털이 빠지고 볼품없이 말랐지만 자신의 삶과 자식(아기 청둥오리) 지키기 위해 족제비와 용감하게 맞서 싸우는 암탉, 더불어 사는 삶과 우정을 소중히 여기는 암탉, 최선을 다해 살고 죽음이라는 자연의 순리를 담담히 받아들이는 암탉, 생각이 깊지만. 때론 엉뚱하고 유머를 지닌 암탉.
이 작품에는 이런 암탉 잎싹만큼이나 풍부한 개성과 다양한 삶의 유형을 가진 동물들이 등장한다. 양계장에 갇혀 배부르게 먹고 품지도 못할 알을 낳으면서 아무 생각 없이 사는 난용종 암탉, 마당에서 수탉과 병아리와 함께 만족스럽게 살면서 혹시라도 누가 끼어들어 그 생활을 흐트러뜨리지 않나 전전긍긍하는 관상용 암탉, 한쪽 날개를 다쳤지만 자신의 본성을 잃지 않고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나그네 청둥오리, 권위주의를 상징하는 수탉, 자신의 본성을 망각하고 안락한 삶에 안주하는 집오리떼, 기회주의자의 전형인 문지기 개····
[마당을 나온 암탉]은 주인공 잎싹이 소망을 굳게 간직하고 자기 삶의 주인으로 꿋꿋하게 살아가는 모습과 독특하고 개성적인 등장인물의 다양한 삶을 통해 오늘의 어린이들로 하여금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에 대한 기본적인 질문과 반성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다소 어렵고 무거울 수 있는 주제지만, 박진감 넘치는 탄탄한 구성과 풍부한 상징성, 독특한 등장 인물의 창조, 산뜻하고 감성적인 문체 등 고도의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작품의 깊이는 물론 진한 감동과 문학의 참맛을 흠뻑 느낄 수 있다.
이 글을 쓴 황선미는 1963년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97년 제1회 탐라문학상 동화 부문을 수상하였고, '내 푸른 자전거', '앵초의 노란 집', '여름 나무', '섬마을 몽당깨비', '나쁜 어린이표' 등의 동화를 썼다.
이 책에 그림울 그린 김환영은 1959년 충청도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고, 홍익 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했고 만화와 애니메이션도 공부했다. 한겨레 문화 센터 아동문학 작가 학교 8기를 수료했고, 지금은 경기도 가평에서 그림책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 마당을 나온 암탉은 영화관에서 3D로 관람을 하고
컴에서 다운로드하여 두번째 보았는데
며칠전 티브로 보여 주길래 3번씩이나 보게 되었다.
울 딸 은혜가 애니메이션을 하고 있어서
더 관심을 갖고 보기도 했지만
암탉 잎싹이의 용기와 사랑.우정. 희생. 생명존중등
이런 영화는 한번쯤 볼만하다고....파라의 생각
'사진으로 보는 이야기 > 영화.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소더스:신들과왕들 (0) | 2014.12.10 |
---|---|
[스크랩] 나는 왕이로소이다. (0) | 2014.07.23 |
[스크랩] 존 번연의 천로역정 (0) | 2014.07.23 |
[스크랩] “왕과의 하룻밤”에 나오는 장면 중 감동이 되어 올립니다. (0) | 2014.07.23 |
왕과의 하루밤 (0) | 2011.10.06 |